신구대학교 식물원 꽃무릇 탐방
♡ 일시 : 2016.9.16(금)
추석연휴를 맞이하여 고향에 다녀온후 청계산 자락에 있는 신구대학교 식물원을 찾았다.
매년 이맘때쯤이면 영광 불갑사와 함평 용천사,고창 선운사의 붉은 양탄자를 깔아 놓은듯한 꽃무릇을 찾아 나서곤 했는데
올해는 그 곳까지 갈 수 없는 아쉬움을 가까운 신구대학교 식물원에서 달래보기로 하였다.
잘 알다시피 "꽃무릇(일명 석산화 : 石蒜花)" 과 "상사화(想思花)" 는 꽃과 잎이 따로 피어
절대로 서로 만날수 없는 꽃이라고 하여 '영원화엽불견화(永遠花葉不見花)' 라고 불리우며
꽃말이 '사랑해선 안될 사람' '이루어 질수 없는 사랑' 을 노래하는 슬픈 전설을 간직한 꽃이다.
정확히 말하면 상사화는 봄철에 잎이 먼저 피고 떨어지면 주로 분홍색과 노랑색 꽃이 피고
꽃무릇은 가을철에 붉은색 꽃이 먼저 피고 떨어지면 잎이 피는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꽃과 잎이 만날수 없다는 뜻으로 구분하지 않고 그냥 상사화라고 쓰기도 한다.
붉디 붉은 꽃잎과 가늘게 퍼져 나간 여인네 긴 속눈썹 같은 꽃술이 아름다운 꽃모양을 만들어 내며
'스님과 처녀의 이루어 질수 없는 사랑의 전설' 이 있어서인지 절마당에 가면 많이 볼 수 있는데
사실 스님들이 탱화를 그릴때 꽃은 말려 물감을 만들고 그 뿌리는 즙을 내어 사용하면
좀이 슬지 않고 색도 변하지 않는 방부제로도 사용한다고 하니
재미있는 이야기임에는 틀림 없는것 같다.
(상사화 전설 _ 퍼온글)
옛날에 아주 옛날에
어느 마을에 마음씨 착한 부부가 살고 있었는데
아이를 가질수가 없어 천지신명님께 지성으로 빌고 또 빌어
하늘도 감복했는지 예쁘고 착한 딸아이가 태어났답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아버님이 병으로 그만 돌아가시고 만것입니다
예쁘고 마음씨 착은 딸은
아버님의 극락장생을 기원하기위해
백일 탑돌이 기도를 작정하고 절에가서 빌면서
탑돌이를 시작하게 되었고...
그런데 이 절에는 젊은 스님이 살고 있었는데
백일 탑돌이를 하고 있는 아름다운 처녀의 모습에 반해 버렸답니다
절의 스님이 세속의 여인을 사랑할수가 없기에
젊은 스님은 누구에게 말도 못하고 한숨만 쉬고 있었답니다
백일이 지나고 아름다운 처녀가 돌아가자
젊은 스님은 시름시름 앓다가 그만 죽고 말았답니다.
그 다음해 죽은 그 무덤에서 한송이 꽃이 피었는데 ~
이 꽃이 바로 상사화라고 한답니다.
언제나 잎이 자라고 잎이 말라죽은 다음 꽃대가 올라와
꽃이 피었다고 하는 상사화...
참 재미있지만 슬픈 전설입니다
절대로 이루어질수 없는 슬픈 사랑 이야기...
그래서 상사화 꽃말이
"이루어질수 없는 사랑" 이라고 한답니다
상사화에는 그 이름만으로도 몇 가지 전설이 있다.
어느 스님이 세속의 처녀를 사랑하여 가슴만 태우며 시름시름 앓다가 입적(入寂)한 후 그 자리에 피어났다는 설,
반대로 스님을 사모하여 불가로 출가하겠다는 딸을 억지로 결혼시켜 마음에도 없는 사람과 살게 해
이루지 못하는 사랑에 홀로 애태우다 죽은 여인의 넋이 꽃이 되었다는 이야기,
옛날 어떤 처녀가 수행하는 어느 스님을 사모하였지만 그 사랑을 전하지 못하고 시들시들 앓다가 눈을 감고 말았는데
어느 날 그 스님 방 앞에 이름 모를 꽃이 피자 사람들은 상사병으로 죽은 처녀의 넋이 꽃이 되었다는 전설 같은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한결같이 이루지 못한 사랑의 애절함을 표현해 '상사화'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점은 틀림없는 것 같다.
<신구대 식물원 입구>
작년에는 없던 형형색색의 개구리 소품들을 식물원 곳곳에 배치해 놓아 꽃들과 묘한 조화를 이룬다
닥꽃 아래 앉아 있는 개구리는 쌍안경으로 나를 검문하고...ㅎㅎ
식물원 중앙광장을 지나 잘 단장된 꽃길을 따라가면 에코타운이라는 열대식물원이 나오고 그 뒤쪽 언덕으로 올라가면 꽃무릇 단지가 나온다
큰 나무 아래 꽃무릇은 3~4일후면 만개할것으로 생각되며 양지쪽 언덕에 있는 꽃무릇은 벌써 화사한 꽃술을 뽐내고 있었다
식물원의 옥상과 언덕에는 다육식물이 자라고 있었으며 자전거와 피아노 등 다양한 소품을 활용한 화분들이 눈길을 끈다
2016.9.16(금). 마운틴세르파 이규영
'야생화 >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리 코스모스 축제를 미리 다녀오다 (0) | 2016.09.18 |
---|---|
올림픽공원 풍접초와 황화코스모스 (0) | 2016.09.17 |
장성 축령산 편백나라에서 만난 야생화와 버섯 (0) | 2014.07.26 |
삼척 응봉산 덕풍계곡 용수골에서 만난 야생화 (0) | 2014.07.19 |
가리왕산에서 만난 야생화 (0) | 2014.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