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30

조선왕릉 탐방기 4 (남양주 광릉편) 조선왕릉 탐방기 4 (남양주 광릉편) 왕의 곁으로 가다.... 신들의 정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광릉은 조선 7대 왕 세조와 정희왕후 윤씨의 능으로 ‘동원이강릉’이며 재실 옆에 유일하게 ‘하마비’가 조성되었고 ‘정이품송 후계목’이 자라고 있지요. 세조는 1417년 세종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수양대군으로 책봉되었고 단종이 12살 어린나이에 왕위에 오르자 계유정란을 일으켜 1455년 왕위에 오른후 1468년 세자 예종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52세의 나이로 이곳 광릉에 묻히게 됩니다. 정희왕후는 세조사이에 2남(추존 덕종, 예종)1녀(의숙공주)를 낳고 1469년 예종이 돌아가고 성종이 어린나이에 즉위하자 조선 최초로 수렴청정을 하다가 1483년에 온양 행궁에서 세상을 떠납니다 세조는 어린조카로부터 왕.. 2020. 11. 10.
'과천 서울대공원'가을 나들이 '과천 서울대공원'이 개방되었다고 해서 잠깐 다녀왔습니다 올 가을에는 청송 '주산지 왕버들'와 괴산 '문광지 은행나무' 등 사진촬영 명소들을 갈수 없어 가까운 서울대공원의 청계저수지를 한바퀴 돌아보고 동물원과 산림욕장 산책로를 따라 늦가을의 정취를 느끼고 돌아왔습니다 특히 몇년전 혹서기 풀코스마라톤대회가 열릴때마다 참가해서 저수지를 두바퀴 돌고 동물원 내부 순환도로를 6번 왕복하면서 호랑이 울음소리도 듣고 쮸쮸바도 먹고 계곡물에 퐁당 들어가 땀을 식히던 추억이 있는곳이지요 가끔은 작은 배낭하나 메고 호랑이상 오른쪽 아랫길로 돌아가서 청계사 와불님을 찾아 뵙고 절골과 이수봉, 국사봉을 찍고 다시 석기봉과 매봉을 거쳐 원터골이나 옛골로 빠져 막걸리 한잔으로 목을 축이던 때도 있었구요 가을단풍 찾아 멀리 못간.. 2020. 11. 9.
영남알프스 막내 ‘문복산(文福山, 1013.5m)’ 클린산행 이야기 영남알프스 막내 ‘문복산(文福山, 1013.5m)’ 클린산행 이야기 신라시대 화랑들의 훈련장소였으며 ‘문복(文福)’이라는 도사가 살았다는 전설이 깃든 문복산은 낙동정맥에서 북쪽으로 약간 올라가 있으며 천길절벽 ‘드린바위’의 위용이 장엄하까지한 명산이지요 운문령에서 출발하여 낙동정맥 갈림길인 ‘신원봉’과 ‘학대산’을 거쳐 문복산 정상에서 영남알프스 9산 인증도 하고 등산로 주변을 깨끗이 청소하면서 안전하게 하산할수 있어 다행이었습니다 늦가을 산행은 날이 빨리 저물기 때문에 ‘헤드랜턴(예비건전지 포함)’을 반드시 배낭에 넣어놓고 비닐우의, 핸드폰밧데리, 보온용자켓, 열량이 많은 비상식량 등 하산이 늦어질 경우를 대비하여 준비해 놓아야 할것입니다 그리고 낙엽이 많이 쌓인 내리막길은 미끄러지기 쉽기 때문에 유의.. 2020. 11. 9.
영남알프스 가지산~운문산 산행 이야기 [영남알프스 가지산~운문산 산행 이야기] 10월의 마지막날 새벽에 SRT타고 울산 가지산과 운문산 당일치기 산행을 다녀왔습니다. '11월21일 BAC 클린도전단 무박산행' 이 예정되어 있는데 똑 같은 코스를 선답산행하고 온 셈이 되었네요... 울산역에서 택시를 타고 운문령에서 출발하여 낙동정맥 '쌀바위' 인증을 하고 '가지산(1241m)'과 '운문산(1188m)'에서 영남알프스 9산종주 8번째 인증을 하고 석골사로 하산하였습니다. 이제 문복산 하나만 남았네요....ㅎㅎ 가지산 정상과 능선길은 단풍이 거의 다 떨어졌고 운문산 아랫재로 내려가는 길과 석골사 하산길 중간계곡에 오색단풍이 한창이었습니다 나 홀로 10초 타이머 셀카도 찍어가면서 지난달 다녀온 얼음골 건너편 천황산과 재약산을 조망하고 무념무상으로 .. 2020. 11. 5.
조선시대 왕릉 탐방기 03 (동구릉 편) 조선시대 왕릉 탐방기 03 (동구릉 편) 왕의 곁으로 가다.... 신들의 정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구리시 감암산 자락의 동구릉은 ‘동쪽에 있는 아홉 기의 능’ 이라는 뜻으로 조선 왕실 최대규모의 왕릉군입니다 1408년 조선을 건국한 태조의 건원릉이 처음 조성되었으며 문종의 현릉, 선조의 목릉, 현종의 숭능, 장렬왕후의 휘릉, 단의왕후의 혜릉, 영조의 원릉, 헌종의 경릉이 있다. 능이 조성될때마다 동오릉, 동칠릉 등으로 불리다가 추존 문조의 수릉이 옮겨지면서 지금의 동구릉이 되었지요 제법 짙어가는 추색을 배경으로 재실에서 전주이씨 대동종약원 제군들이 원릉(영조와 정순왕후 김씨) 기신제향을 준비하는 모습을 구경하고 추천 관람 코스대로 천천히 탐방을 하였습니다 수릉(추존 문조와 신정왕후)~ 현릉(.. 2020. 11. 3.
조선시대 왕릉 탐방기 02 (선정릉 편) 조선시대 왕릉 탐방기 02 (선정릉 편) 왕의 곁으로 가다.... 신들의 정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서울 지하철 2호선 선릉역과 9호선 선정릉역이 있다는 건 알고 있어도 역 이름이 조선 제9대 임금인 성종과 정현왕후의 ‘선릉(宣陵)’과 아들 11대 중종의 ‘정릉(靖陵)’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것입니다. 빌딩 숲 속 오아시스처럼 강남구 삼성동에 자리한 삼릉공원 안에 자리잡은 '선정릉(宣靖陵)'은 이 지역 직장인들에게 유적지보다는 점심식사 후 커피한잔 빼들고 산책하는 휴식장소로 더욱 잘 알려져 있지요 성종은 1457년 의경세자(뒷날 덕종으로 추존)와 소혜왕후(인수대비)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나 두 달도 안되어 아버지 의경세자가 죽는 바람에 성종은 할아버지인 세조의 손에 의해 .. 2020. 11. 2.
블랙야크 서수원점 명산100 도전단과 함께 금정산 산행 서울에 북한산이 있다면 부산에는 ‘금정산(金井山)’이 있지요 바람이 몹시 강하게 불던날 ‘블랙야크 서수원점 명산100도전단’과 함께 한국의 산성중에서 가장 길다는 금정산성 낙동정맥 일부구간 무박산행을 다녀왔습니다 이마에 불달고 동문에서 출발하여 세찬바람을 맞으며 부산시내 야경을 구경하고 원효봉과 북문을 거쳐 금샘으로 가는길에 일출을 맞이했습니다 고당봉(801m)으로 가는 길에는 금빛나는 물고기가 오색구름을 타고 범천(梵天)에서 내려와서 우물에서 놀았다는 설화가 얽힌 ‘금샘’이 있지요. 가뭄이 들어도 마르지 않고 황금빛을 띄었다고 합니다. 특히 범어사(梵魚寺)와 대각선에 위치하고 있으며 금샘 물이 마르면 흉년이 들기 때문에 가뭄이 들면 금샘부터 살펴보고 아래에서 기우제를 지냈다고 합니다 고당봉(姑堂峰) 정.. 2020. 10. 29.
조선시대 왕릉 탐방기 01 (헌인릉 편) 조선시대 왕릉 탐방기 01 (헌인릉 편) 왕의 곁으로 가다.... 신들의 정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매년 11월이 되면 좌묘우사 종묘와 사직을 비롯한 5대 궁궐을 탐방하지만 올해는 조선시대 왕릉(총42기, 개성 제릉, 후릉 포함)중에서 답사가 편리한곳부터 시간나는대로 찾아볼 계획입니다. 오늘은 서초구 내곡동에 있는 '헌인릉'에 잠깐 다녀왔습니다. 사적 제194호인 헌인릉은 조선시대 3대 임금인 태종과 왕비 원경왕후 민씨의 쌍릉인 '헌릉'과 제23대 순조와 왕비 순원왕후 김씨를 합장한 '인릉'을 합쳐 붙여진 이름이지요 대모산(293m) 자락에 자리잡은 '헌인릉'은 산과 화초재배 농가로 둘러싸여 있고 약 400년 차이로 조성된 왕릉으로 조선초기와 후기의 왕릉의 양식을 한눈에 살펴볼수가 있지요. 두.. 2020. 10. 29.
영남알프스(천황산~재약산) 블랙야크 클린도전단 자원봉사 산행 이야기..... 영남알프스(천황산~재약산) 클린도전단 자원봉사 산행 이야기..... 영남알프스 하늘억새길中에서 ‘단풍사색길 (배내고개 ~능동산 ~천황산)’과 ‘사자평억새길(천황산~재약산~죽전마을)’을 트레킹하면서 명산100 인증도 하고 무박으로 클린산행을 다녀왔습니다 이 코스는 보통 배내고개에서 이마에 불달고 능동산을 거쳐 쇠점골약수터에서 목을 축이고 일출을 보면서 얼음골 케이블카 능선을 거쳐 백호바위를 조망하고 샘물상회에서 두부김치에 막걸리 한잔의 즐거움을 맛보는 것인데 임도길을 타고 너무 빨리 와버려 문을 열지 않았더군요 물론 1무1박3일 코스로 석골사에서 새벽에 출발하여 운문산과 가지산을 찍고 석남터널위로 올라와 이 코스를 타고 죽전마을에서 자고 청수우골로 올라 영축산과 신불산, 간월산을 찍고 배내고개로 하산하는 .. 2020. 10. 20.